본문 바로가기
오늘의 심리 한 컷(Daily)

왜 우리는 스스로를 속일까? 인지부조화의 숨은 비밀

by 마법의 심리학 비밀 2025. 8. 23.
반응형

 
 
생각과 행동이 어긋날 때 생기는 불편함, 인지부조화. 
우리는 왜 스스로를 속이며 합리화할까? 일상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심리 착각에 대해 이야기하겠다.
 

" 인지부조화(Cognitive dissonance)  " 

 
내가 생각했던 의도와 막상 벌어진 그 결과가 어긋나버리면 인간은 찝찝함을 느낄 수밖에 없다.
즉, 마음이 몹시 불편하다. 이러한 감정을 줄이기 위해 스스로 합리화하거나 행동을 바꾸는 심리 현상,
바로 이것을 인지부조화 라고 일컫는다.
 
 

인지부조화
"아...이걸 왜 또 샀지" 후회의 감정이 들다가도 이내 스스로 합리화한다. " 아니야, 필요했던거야.."

 
 
예를 들어볼까?
비싼 물건을 사고 나서 곧바로 후회의 감정이 밀려오지만   “아...아니야...이건 꼭 필요했어”라고 스스로 납득시키는 것도  바로 이러한 인지부조화 현상과 같은 원리다.  고민 끝에 결정을 내렸다면 후회보다는 스스로 납득할 이유를 찾는 것이 본인 스스로의 마음을 편안하게 하기 때문이다.
 

인지부조화
후회와 죄책감도 잠시, 곧바로 스스로를 합리화한다 : 인지부조화

 
 
많은 흡연자들이 “담배가 해롭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지만, 동시에 그들은 여전히 담배를 손에서 놓지 못한다. 마음 한켠에서는 모순이 느껴진다. 이내 그 감정의 불편함을 줄이기 위해 “담배가 스트레스를 풀어주니까 결국 건강에도 도움이 되는 거야”라고 스스로를 설득하기 시작한다. 이처럼 나쁜 습관을 합리화하는 과정이 바로 인지부조화의 전형적인 예시이다.
 
오랫동안 이어온 친구나 연인 관계 속에서, 사실은 더 이상 행복하지 않다고 느끼는 순간이 분명히 찾아온다. 하지만 막상 관계를 정리하려 하면 마음이 무겁고 불편하다. 치명적인 두려움이 밀려온다.  “그래도 오랫동안 함께 했으니까 정으로 이어가야지....아...관계를 끊는 것은 너무 힘들어. 이별 후에 많이 힘들 것 같아...”라는 온갖 이유를 붙이며 억지로 관계를 유지하려 한다. 지금의 감정과 행동을 맞추려는 바로 이 심리가 인지부조화의 모습이다.
 
힘들게 준비해서 원하는 회사에 들어갔는데, 막상 회사 분위기나 문화가 자신과 맞지 않는다고 느낄 때가 많다. 불편함이 생기지만, 이미 쏟아온 시간과 노력이 아까워서 “그래도 여기서 경력을 쌓으면 나중에 분명 도움이 될 거야”라고 스스로 납득시키곤 한다. 즉, 힘겨워도 고통 속에서도 인내하고 회사를 다니게 되는 것이다.  그동안 쌓아왔던 노력과 지금의 현실 괴리를 줄이려는 방식을 결국 택하게 되는 것이다. 
 

인지부조화
고통받는 수많은 현대인들 " 매일 아침 지옥을 경험하지만, 그래도 이유가 있으니 오늘도 꾸역꾸역 나갑니다..... "

 
 
길을 가다 무심코 쓰레기를 버렸을 때, ‘이건 환경에 나쁘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스쳐 지나가면 마음이 불편해진다. 하지만 곧바로 “이 정도는 괜찮아, 다른 사람들도 다 버리잖아”라고 정당화하면서 죄책감을 줄이려고 한다. 작은 행동일지라도 도덕적 가치와 실제 행동이 충돌할 때 나타나는 인지부조화의 사례이다. 
 
이렇듯 인지부조화는 “내가 한 행동”과 “내가 믿는 가치”가 충돌할 때 생기는 불편함을 줄이기 위해, 스스로 이유를 만들어내는 것이다. 

중요한 건 이 불일치를 깨닫고, 합리화가 아니라 더 나은 선택으로 이어가려는 태도를 가져야 한다는 것이다!
 

"매일 단 한 컷의 심리학. 짧지만 오래 머무는 울림이 오늘 하루를 새롭게 비춘다. by 차밍엘의 에코"

 
By 차밍엘의 에코
네이버,구글 검색  블로그 " 마법의 심리학 비밀 "
 
* 함께 보면 좋은  글 : [남의 SNS를 볼 때마다 우울해진다면 꼭 알아야 할 사실]

 

남의 SNS를 볼 때마다 우울해진다면 꼭 알아야 할 사실

" 인스타그램이 내 자존감을 갉아먹는다!" SNS 비교심리, ‘Inspiration vs Reality 모드’ 를 통해 진짜 벗어날 수 있을까? 멋진 모습만 보여주는 인플루언서의 SNS나 주변 지인 및 친구의 행복한 모습을

secret-psycholog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