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간의 비밀

상대방의 속마음이 궁금하다면 몸동작을 보라!

by 차밍릿(charming Lit) 2023. 4. 5.

사람의 내적 생각이나 감정에 대한 단서를 제공할 수 있는 

몇 가지 신체 반응이 있다.

 

이것은 결코 거짓으로 꾸며낼 수 없는 그야말로 정확한 증거가 된다.

바로 본능적으로!

무의식적으로!

나오는 신체 반응이기 때문이다.

 

 

얼굴 표정

 

사람의 표정은 그들이 생각하거나 느끼는 것에 대해

많은 것을 드러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름진 이마는 혼란이나 걱정을 나타낼 수 있고

미소는 행복이나 즐거움을 드러내는 신호이다.

 

인간의 얼굴은 눈썹을 치켜올리고, 눈썹을 찌푸리며,

입술을 오므리고, 눈을 가늘게 뜨는 등

다양한 근육 운동을 통해 광범위한 감정을 드러낸다.

 

바디 랭귀지

 

사람의 자세와 움직임도 드러날 수 있다.

 

예를 들어 팔짱을 끼는 것은 방어적이거나 불편함을 나타낼 수 있지만 

안절부절못하는 것은 

초조함이나 조급함을 나타낸다.

 

사람이 서거나 앉는 방식 또한 감정 상태에 대한 무언가를 드러낼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부정하거나 구부정한 자세는 

슬픔이나 패배를 나타낼 수 있지만, 

어깨를 뒤로 젖히고 똑바로 서 있는 것은 

자신감이나 자부심을 나타낸다.

 

눈맞춤

 

눈맞춤의 양과 방향은 생각과 의도에 대한 단서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눈맞춤을 피하는 것은 수줍음이나 부정직함을 나타낼 수 있지만,

오랫동안 눈을 맞추는 것은 상대방에 대한 관심, 호감이 

드러나는 증거이다.

 

단, 머릿 속으로는 다른 생각을 하며 멍을 때리고 있는데

공교롭게도 한 쪽으로 시선이  집중되어 있는 경우는 제외이다.

 

 

발한

 

특히 손바닥에서 과도한 발한은 신경질이나 불안의 신호일 수 있다.

 

얼굴이 빨개지거나 볼이 붉어지는 것은 당혹감, 수줍음 또는

상대방에 대한 호감의 표시일 수 있다.


참고는 할 수 있지만 100퍼센트 맹신하기에는

항상 예외인 경우도 있기 때문에

변수의 확률도 염두해 두자.


이러한 신체 반응이 항상 사람의 생각이나 감정을 나타내는 

신뢰할 수 있는 정답의 지표는 아니다.

 

사람마다 같은 상황에 대해 다른 반응을 보일 수 있고, 

어떤 사람은 다른 사람보다 자신의 감정을

교묘하게 더 잘 숨길 수도 있다.

 

다양한 외부 요인의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이러한 신체 반응만으로 어림잡아 결론을 짓지는 말아라.

 

그렇다면, 상대방이 나를 좋아할 때 숨길 수 없는 신체 반응은 무엇일까?

 

당신을 좋아하는 사람이 자신의 관심을 나타내는 신체적 반응이나 행동을 보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행동은 다양한 다른 요인의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대표적인 특징이라고 알려진 이론이니

참고만 하시기 바란다.

 

사람의 속마음을  결정적인 증거로 맹신하고

간주해서는 안 된다는 점을 다시 한번 강조하겠다.

내적인 심리를 나타내는 몇 가지 잠재적인 신체적 반응은 다음과 같다.

 

동공 확장

 

연구에 따르면 사람이 누군가에게 끌릴 때 신체가 

아드레날린과 노르에피네프린이라는 물질을 방출하기 때문에

눈의 동공이 확장될 수 있다고 한다.

 

누군가를 좋아할 때 대표적으로 보이는 신체 특징들 중

동공의 확장은 많은 사람들이 꼭 하는 이야기이다.

 

 

미소 짓기

 

누군가가 당신 앞에서 지속해서 미소를 짓거나 웃는다면 

당신과 함께 있는 것을 좋아한다는 강력한 신호이다.

 

별로 재밌는 상황이 아닌데도

내 앞에서 유독 실실 웃거나 

하마같이 큰 미소를 보인다면?

 

나에게 호감이 있는 거라고 생각해도 좋다.

 

 

 

기울기

 

대화하거나 함께 앉아 있을 때 누군가가 당신 쪽으로 몸을 기울인다면

당신이 말해야 하는 내용에 관심이 있고

당신과 더 가까워지기를 원한다는 의미일 수 있다.

 

미러링(Mirroring)효과

 

일부 사람들은 친밀감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자신이 끌리는 사람의

바디 랭귀지나 움직임을 무의식적으로 미러링한다.

즉, 행동을 똑같이 따라한다는 뜻이다.

 

예를 들면 상대방과 대화 중에 잠깐 다른 방향으로 시선을 돌렸는데

그 사람도 나와 같은 쪽으로 눈길을 준다면

이것이 미러링 효과가 적용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좋아하는 상대방을 계속적으로 의식하고 있으며

그 사람의 모든 행동에 초집중하고 있기 때문이다.

 

심박수 증가

 

사람이 누군가에게 끌리면 아드레날린 및 기타 호르몬의 방출로 인해 

심박수가 증가한다.

 

실제로 심장 쪽으로 손을 댔을 때

콩닥콩닥 빠르게 뛰는 심박수의 진동을 느낄 수 있다.

 

그 사람의 심장 쪽으로 손을 대지 않았어도

무언가 그 사람의 가슴이 

뛰고 있는 듯한 느낌이 들고 긴장하는 모습이 역력하다면?

 

나를 좋아하고 있어서 나오는

자동 반사 작용이라고 생각하라.

 


배 속의 나비 효과

 

어떤 사람들은 좋아하는 사람 주위에 있을 때

배나 가슴이 설레는 느낌을 경험할 수 있는데,

이는 신체의 스트레스 반응의 결과이다.

 

그 외

 

앞서 언급했듯이 발한은 스트레스나 불안에 대한 신체적 반응일 수 있으므로

누군가가 좋아하는 사람과 함께 있을 때 긴장하거나 흥분하면

평소보다 더 많은 땀을 흘릴 수 있다.

 

일부 사람들은 신경 에너지를 전달하는 방법으로

좋아하는 사람 주위에 있을 때

무의식적으로 주변의 머리카락, 옷 또는

물건을 만지작거리기도 한다.

 

다시 말하지만, 이러한 행동은

심리적 상태, 속마음의 완전히 결부될 수 있는

결정적인 신호는 아니며,

관계 및 기타 요인의 맥락, 실제 상황 내에서

해석되어야 한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무엇보다도 누군가가 당신을 좋아하는지 확인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서로가 진솔하게 터놓고

서로의 속마음을 풀어내고 대화하는 것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