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ythomania(허언증)라고도 하는 병리학적 거짓말은
지속적이고 강박적인 거짓말 패턴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이다.
병리학적 거짓말을 하는 개인은 때때로 또는
사회적으로 용인되는 거짓말쟁이와 구별되는 특정 특성을 보인다.
다음은 병리학적 거짓말쟁이와 관련된 몇 가지 일반적인 특징이다.
강박적이고 빈번한 거짓말
병적인 거짓말을 하는 사람들은 규칙적이고 습관적인 행동으로
거짓말을 하는 경향이 있다.
그들은 개인적인 성취, 관계, 경험과 같은 삶의 다양한 측면에 대해
거짓말을 하거나 가상의 인물을 만들 수도 있다.
정교하고 상세한 스토리텔링
병리학적 거짓말쟁이는 종종 자신의 거짓말을 더 그럴듯하게 만들기 위해
복잡하고 상세한 이야기를 조작한다.
이러한 내러티브(narrative)에는
('내러티브'란 어떤 사물이나 사실, 현상에 대하여
일정한 줄거리를 가지고 하는 말이나 글을 뜻한다)
자신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특정 세부 정보, 날짜 및 심지어 위치까지 섬세하게
조작하기도 한다.
죄책감이나 후회의 결여
때로 거짓말을 하고 죄책감이나 후회를 경험할 수 있는 개인과 달리,
병적 거짓말쟁이는 일반적으로 자신의 부정직에 대해
거의 또는 전혀 후회하지 않는다.
마치 뇌 구조에 이러한 양심의 가책을 느낄 수 있는 기능이 탑재되어 있지 않다고나 할까.
그들은 자신의 주장과 모순되는 증거에 직면했을 때에도
계속해서 거짓말을 해댄다.
진실과 허구를 구별하기 어려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병적인 거짓말을 하는 인간은
자신의 거짓말과 현실을 구별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타인들은 이 인간들의 교묘히 조작된 이야기에 너무 깊이 빠져서
그 이야기가 사실이라고 진심으로 믿게 되며 허우적 댄다.
충동적인 거짓말
병적인 거짓말은 단순히 충동적이며
결과에 대한 많은 사전 생각이나 고려 없이 발생할 수 있다.
거짓말은 반사적인 반응이 되며, 사람들은 명백한 이유나
이점이 없을 때에도 거짓말을 한다.
과대망상과 관심 추구
병리학적 거짓말쟁이는 자신에 대해 더 호의적인 이미지를 만들거나
다른 사람의 관심, 찬사 또는 동정을 얻기 위해 거짓말을 한다.
그들은 자신의 성취를 미화하거나
긍정적인 빛으로 비추는 이야기를 만들어낸다.
진실에 대한 어려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병적인 거짓말쟁이는
자신의 거짓말과 현실을 구별하는 것이 점점 더 어려워질 수 있다.
그들은 스스로 자신의 조작에 너무 얽혀서
모든 거짓 내러티브가 사실이라고 믿어버리게 된다.
조작 경향
병리학적 거짓말쟁이는 다른 사람과의 관계 또는 상호 작용에서
조작 또는 통제 수단으로 거짓말을 이용한다.
그들은 개인적인 이익, 검증 또는 부정적인 결과를 피하기 위해
다른 사람을 속이고 조종할 수 있다.
병적인 거짓말은 심리적 상태로 간주되며
성격 장애나 충동 조절 장애와 같은 다른 근본적인 문제와
관련될 수 있다는 점에 반드시 주의해야 한다.
다음은 이러한 허언증을 지닌
병적인 거짓말과 관련된 몇 일반적인 전조 증상, 원인을 알아보겠다.
어린 시절의 경험이 바로 그 원인인 경우가 많다
트라우마, 방치 또는 부모의 일관되지 않은 징계와 같은
어린 시절의 불리한 경험은
병적인 거짓말 경향의 발달에 기여할 수 있다.
아이들은 처벌을 피하거나 관심을 끌기 위해
대처 방법으로 거짓말을 해야 했기 때문이다.
주의를 끌기 위한 행동 양식이다
주의나 확인이 강하게 필요한 개인은
병적인 거짓말에 더 쉽게 관여한다.
이들은 다른 사람들의 관심, 감탄 또는 공감을 얻기 위해
이야기를 조작하거나 자신의 경험을 과장한다.
낮은 자존감이 원인
이러한 사람은 병적인 거짓말을 자기 이미지를 향상시키거나
더 좋은 인상을 주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한다.
그들은 다른 사람들에게 더 인정받거나 가치 있다고 느끼기 위해
자신의 성취나 속성에 대해 거짓말을 할 수 밖에 없다.
충동 조절 문제
병적인 거짓말은 충동 조절의 어려움과 관련된다.
개인은 자신의 관계나 평판에 미치는 결과나
장기적인 영향을 고려하지 않고 거짓말을 하려는 충동을 느낄 수 있다.
성격 장애자는 대부분 허언증을 지니고 있는 경우가 많은데,
자기애적 성격 장애나 반사회적 성격 장애와 같은
특정 성격 장애는 병적인 거짓말과 관련이 있다.
이러한 장애는 공감 부족, 교묘한 행동, 기만적인 행동에 가담하는 경향이 특징이다.
병리학적 거짓말쟁이는
검증이 절실히 필요하거나 긍정적인 면에서 보여지기를 원할 수 있다.
거짓말은 다른 사람의 감정적 욕구를 충족시켜
다른 사람의 감탄, 동정 또는 승인을 얻는 방법이 된다.
병적인 거짓말은 개인적 요인, 환경적 영향 및
근본적인 심리적 조건의 조합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는 복잡한 행동 속에 기인한다.
'인간의 비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대방 영혼을 갉아먹는 이기적이고 오만한 '나르시시트' 는 누구인가? (0) | 2023.05.23 |
---|---|
나에게 가식적이지 않고 진심으로 대하는 사람 감별법! (0) | 2023.05.22 |
나의 외모가 예쁜 혹은 잘생겼다는 증거 (0) | 2023.04.07 |
가식이 아닌 진짜 좋은 사람 판별법 (0) | 2023.04.06 |
상대방의 속마음이 궁금하다면 몸동작을 보라! (0) | 2023.04.05 |